본문 바로가기

가끔 영화감상/좋은 작품들

바르셀로나처럼 사랑하라 - 비키 크리스티나 바르셀로나 Vicky Cristina Barcelona

 

 

우디 앨런이 사랑하는 도시 중, 이 곳 바르셀로나가 가장 사랑에 취하기 좋은 도시란 생각을 한다.

 

이름부터 혀에 착 감기는 몽환적인 발음을 가진 바르셀로나이기에, 두 미국 여성이 이 도시에 도착한 순간부터 이 마법의 도시는 봉인되어 있던 그녀들의 감정을 해제시켜버린다.

 

비키와 크리스티나 (레베카홀, 스칼렛요한슨)

 


Life is short. Life is dull. Life is full of pain. And this is a chance for something special

 

바르셀로나의 한 술집에서 술을 즐기고 있는 이들에게 슬금슬금 다가오는 남자가 있었으니, 하몽하몽의 마초남 라울, 머리스타일만으로도 소름 돋게 하는 안톤 쉬거, 바로 하비에르 바르뎀(후안 안토니오 역)이다. 쳐다보는 눈빛과 걸음걸이까지, 처음 만난 두 미국 여성에게 중후한 매력과 도발적인 느끼함을 서슴없이 내뿜는 이 카리스마 결정체는 그녀들의 혼을 쏙 빼놓고 만다.

 

후안 안토니오 (하비에르 바르뎀)

 

후안에게 홀딱 빠져든 크리스티나(스칼렛요한슨)보다 결혼을 앞둔 비키(레베카 홀)가 오히려 더 달아오른 듯 보였다. 정해진 인생길을 착실하게 걸어온 그녀도 이성의 끈을 놓을 듯 말 듯 위태로운 줄다리기를 하는데 결국 후안 품에 안기고 만다. 

 

말도 안되는 후안의 논리를 기꺼이 받아들이고 빠져드는 건 뭘까. 끓어오르는 젊은 남녀의 정열이 육체적 교감으로 이어지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과정에 어떤 이유가 더 필요한지 생각해보게 된다. 열이 오르면 불이 나는 게 당연한 거 아닌가.

 


Only unfulfilled love can be romantic

정신을 차린 비키는 후안과의 하룻밤을 자책하며 미국으로 돌아가지만, 자유분방한 크리스티나는 늦게나마 후안과 동거를 시작한다. 심지어 그의 전처인 마리아(페넬로페크루즈)가 집에 나타났는데도 불구하고 크리스티나는 이 커플과 함께 지내는데, 서로 못 잡아먹어 안달인 이들이 예술을 할 때는 참 교감이 잘 되는 점을 부럽게 바라본다.

 

마리아 (페넬로페 크루즈)

 

그녀도 결국 마리아의 도움으로 사진 예술에 깊이 빠져들고, 이들 셋은 예술과 사랑을 동시에 하기에 이른다. 사랑과 예술은 어떤 부분에서는 닮은 점이 많다. 이성적인 판단으로는 해석할 수 없는 것이 많고, 절정의 순간 느끼는 희열의 크기도 비슷하단 생각이 든다.

 

감정에 주체 못 하는 세 남녀의 동거가 그곳이 바르셀로나라는 이유만으로도 어느 정도 납득이 간다고 하면 도시에 대한 너무 큰 찬양일까. 하지만 그만큼 바르셀로나는 사람을 홀리는 마법 같은 도시임에 틀림없다.

 

크리스티나 (스칼렛요한슨)

 

 

한편 미국으로 돌아간 후 약혼남과 결혼을 한 비키도 남편과 더 정열적인 관계를 가지려한다. 하지만 바르셀로에서 느낀 그 감정은 그곳에서만 효력이 있는 환각제였다. 다시 원래대로 '이성적으로' 봉인을 할 수밖에 없는 비키는 후안을 만나러 간다.

 

비키와 크리스티나는 바르셀로나에서 주체할 수 없는 사랑과 욕정의 감정을 느끼지만 결국 모두 제자리로 돌아가게 된다. 바르셀로나를 떠나며 결코 방종한 이 사랑의 몸짓이 영원할 수 없음을 알게 된다. 그리고 미국으로 돌아가는 그녀들의 마지막 모습은 환상의 나라에서 막 탈출하여 마법이 풀린 사람들처럼 보였다.

 


오로지 바르셀로나를 위한 영화

 

신비한 묘약도, 주술도 없었지만 바르셀로나가 풍기는 마술같은 분위기와 스패니쉬 기타의 선율, 스페인 명배우가 열연한 바르셀로나 수컷의 냄새에 홀딱 취하게 된다.

 

우스꽝스러울 수 있는 느끼남의 매력을 하비에르바르뎀은 더없이 잘 보여주며 연기하였고, 백치미와 섹시미를 한껏 뽐낸 스칼렛 요한슨 또한 주목할만하다. 하지만 영화에서 바르셀로나와 가장 잘 어울린 배우는 역시 페넬로페 크루즈였다. 특히 페넬로페 크루즈가 내뿜는 외적인 매력은 가히 치명적이다. 그녀는 살아있는 바르셀로나였다.

 

 

그리고 배우들의 모습을 담은 장면 하나하나가 도시의 색감과 너무 잘 어울렸고, 이렇게 도시 자체를 전면에 내세우며 도시를 통해 메세지를 전하는 영화이기에 바르셀로나를 좋아하는 나로서는 화면에 푹 빠질 수밖에 없었다.

 

그래서일까 영화는 끊임없이 바르셀로나의 명소들을 보여주며 도시 찬양을 격하게 한다. 아름다운 구엘공원과 몬주익 언덕, 사그라다 파밀리아 성당 등 도시 구석구석을 가이드하며 영화는 이렇게 아름다운 도시에서 이들처럼 사랑을 안 하고 배길 수 있냐며 그들의 일탈적인 사랑을 항변하는 듯하다.

 

 너무 아름다운 바르셀로나의 모습, 그리고 속의 세남녀

 

하지만... 그래도 우린 이성적 존재들이기에 영화는 사랑처럼 쉽게 취할 수 있는 감정이 통제력을 잃으면, 결국 누군가가 상처를 받을 수밖에 없다고 말한다. 선을 넘지 않는 아쉬운 마무리였다.

 


바르셀로나처럼 열정적으로 사랑하라

그렇지만 우디 앨런이 말하는 사랑의 방식은 한번쯤 생각해 볼 만하다.

 

우린 분명 감정적이고 주체할 수 없는 존재들이었다. 하지만 우리의 본능은 억제된 채 현실에 맞춰 살고, 이 정도로 만족해하고 스스로를 통제한다. 이래저래 영화는 말도 안 되는 사랑의 이야기라고 치부할 수 도 있겠지만...

 

사실 생각해보면 사랑이란 감정만큼 억제하고 통제받는 게 또 있을까? 그리고 우리가 정말 본능적인 사랑이 뭔지, 정열의 끝에 도달했을 때 우린 어떤 모습이 되는지 한 번이라도 경험해본 적 있는가?

 

아마 사랑만큼은 충분히 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젊은이들에게 우디 앨런은 바르셀로나처럼 열정적으로 사랑하라고 외치는 같다.